목차
1. 직선의 방정식
직선의 벡터 방정식, 매개변수방정식, 대칭방정식
2. 선분(line segment)의 벡터방정식, 꼬인 위치(skew line)
선분(line segment)의 벡터방정식
두 직선의 위치 관계 확인
직선의 방정식
직선의 방정식을 $xy$평면이 아닌, 3차원 좌표계에서 나타내는 방법은 3가지가 있습니다.
벡터 방정식, 매개변수방정식, 대칭방정식입니다.
먼저 벡터 방정식은, 벡터로 직선을 나타낸 방정식입니다.
Def.
직선의 벡터 방정식(vector equation for a line )은 다음과 같다.
$$
\mathbf{r}=\mathbf{r}_0+t \mathbf{v}
$$
이때, $\mathbf{r}_0$ 는 직선 위의 한 점, $\mathbf{v}$는 직선의 기울기 벡터(방향벡터), $t$는 매개변수이다.
증명은 위 그림을 참조하여 할 수 있습니다!
$xy$ 평면에서 직선은 직선의 한 점과 직신의 방향(기울기 또는 경사각)이 주어지면 결정되었죠.
이 경우 직선의 방정식은 점-기울기 두 가지를 이용해서 세울 수 있었습니다.
마찬가지로 이를 똑같이 적용할 것입니다.
임의의 직선 $L$ 의 한 점 $P_0\left(x_0, y_0, z_0\right)$ 과, 직선에 평행한 백터 $\mathbf{v}$(즉, 기울기 벡터)에 의 해 결정되는 $L$ 의 방향을 알면 3차원 공간에서 직선 $L$ 이 결정됩니다.
$P(x, y, z)$ 를 $L$ 위의 임의의 점이라고 가정합시다.
그리고, 그림과 같이 $\mathbf{r}_0$ 과 $\mathbf{r}$ 를 각각 $P_0$ 과 $P$ 의 위치벡터(즉, $\mathbf{r}_0$ 과 $\mathbf{r}$ 는 $\overrightarrow{O P_0}$ 과 $\overrightarrow{O P}$ 를 나타낸다고 합시다)라 가정합시다.
그렇게 되면 $\mathbf{a}$ 가 $\overrightarrow{P_0 P}$ 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.
그래서 벡터의 삼각형 법칙으로부터
$\mathbf{r}=\mathbf{r}_0+\mathbf{a}$ 를 얻습니다.
그런데 $\mathbf{a}$ 와 $\mathbf{v}$ 가 평행인 벡터이므로 $\mathbf{a}=t \mathbf{v}$ 를 만족하는 스칼라 $t$ 가 존재합니다. 따라서 $L$ 의 벡터방정식(vector equation)은 다음과 같습니다.
$$\mathbf{r}=\mathbf{r}_0+t \mathbf{v}$$
또한 매개변수 방정식 한 점과 기울기를 사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.
벡터 방정식에서 확장된 형태이며, 실제로 문제들을 풀 때는 대부분 이 식을 사용합니다.
다루기도 제일 편리한 식이어서 정말 중요합니다.
일차함수 때와 마찬가지로 한 점과 기울기를 알 수 있어서, 직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는 겁니다!
Def. 직선의 매개변수 방정식 (Parametric equations for a line)
점 $\left(x_0, y_0, z_0\right)$ 을 지나고 방향벡터 $\langle a, b, c\rangle$ 와 평행인 직선의 매개변수방정식은 다음과 같다.
$$
x=x_0+a t, \quad y=y_0+b t, \quad z=z_0+c t
$$
증명은 위의 벡터 방정식을 성분으로 표현한 것이 끝입니다.
위에서 유도했던 것처럼 매개변수(parameter) $t$ 의 값에 따라 직선 $L$ 위의 점에 대한 위치벡터 $\mathbf{r}$ 가 정해집니다. 즉, $t$ 가 변함에 따라 벡터 $\mathbf{r}$ 의 종점의 자취가 직선을 그립니다. (그림 참조)
예를 들어 $t$ 의 양수값에는 $P_0$ 의 한쪽에 있는 $L$ 의 점이 대응되지만, $t$ 의 음수값에는 $P_0$ 의 다른 한쪽에 있는 $L$ 의 점이 대응됩니다.
이제 성분을 사용하면 증명이 끝납니다.
직선 $L$ 의 방향을 정해 주는 벡터 $\mathbf{v}$ 를 성분을 이용해서 $\mathbf{v}=\langle a, b, c\rangle$ 와 같이 쓰면, $t \mathbf{v}=\langle t a, t b, t c\rangle$ 입니다. 또한 $\mathbf{r}=\langle x, y, z\rangle$ 와 $\mathbf{r}_0=\left\langle x_0, y_0, z_0\right\rangle$ 로 쓸 수 있으므로 위 벡터 방정식을 성분으로 표현하면,
$$
\langle x, y, z\rangle=\left\langle x_0+t a, y_0+t b, z_0+t c\right\rangle
$$
가 됩니다.
두 벡터가 같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대응하는 성분들이 같아야 한다는 것을 생각하면, $t \in \mathbb{R}$ 일 때 다음과 같은 세 개의 스칼라방정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.( $t$가 실수일 때)
$$
x=x_0+a t, \quad y=y_0+b t, \quad z=z_0+c t
$$
P1)
(a) 점 $(5,1,3)$ 을 지나고 벡터 $\mathbf{i}-4 \mathbf{j}-2 \mathbf{k}$ 에 평행인 직선의 벡터방정식과 매개변수방정식을 구하시오.
(b) 직선 위의 다른 두 점을 구하시오.
(둘 다 답은 유일하지 않다.)
Sol.
(a)
직선 위의 한 점 $\mathbf{r}_0=\langle 5,1,3\rangle=5 \mathbf{i}+\mathbf{j}+3 \mathbf{k}$
기울기 벡터(방향벡터) $\mathbf{v}=\mathbf{i}+4 \mathbf{j}-2 \mathbf{k}$
이므로, 벡터방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$$
\begin{array}{ll}
& \mathbf{r}=(5 \mathbf{i}+\mathbf{j}+3 \mathbf{k})+t(\mathbf{i}+4 \mathbf{j}-2 \mathbf{k}) \\
\text { 즉 } & \mathbf{r}=(5+t) \mathbf{i}+(1+4 t) \mathbf{j}+(3-2 t) \mathbf{k}
\end{array}
$$
매개변수방정식 벡터방정식을 성분으로 표현한 것이므로,
$$
x=5+t, \quad y=1+4 t, \quad z=3-2 t
$$
입니다.
(b)
$t$에 아무 숫자 두 개를 대입하면 됩니다.
매개변수의 값을 $t=1$ 로 선택하면 $x=6, y=5, z=1$ 이므로 $(6,5,1)$ 은 직선 위의 점입니다. 마찬가지로 $t=-1$ 이면 점 $(4,-3,5)$ 를 얻을 수 있습니다.
위 예시처럼, 직선의 벡터방정식과 매개변수방정식은 유일하지 않습니다.
점이나 매개변수를 바꾸거나 평행인 다른 벡터를 선택하면 방정식은 달라집니다.
예를 들어 예제 1에 서 $(5,1,3)$ 대신에 점 $(6,5,1)$ 을 선택하면 직선의 매개변수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변합니다.
$$
x=6+t, \quad y=5+4 t, \quad z=1-2 t
$$
또는 점 $(5,1,3)$ 을 그대로 두고, 평행인 벡터 $2 \mathbf{i}+8 \mathbf{j}-4 \mathbf{k}$ 를 선택하면, 방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$$
x=5+2 t, \quad y=1+8 t, \quad z=3-4 t
$$
일반적으로 직선 $L$ 의 방향을 표시하는 데 벡터 $\mathrm{v}=\langle a, b, c\rangle$ 를 이용합니다.
이때 수 $a, b$, $c$ 를 $L$ 의 방항수(direction number)라 합니다.
참고로 $v$ 에 평행인 임의의 벡터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$a, b, c$ 에 비례하는 세 수도 $L$ 의 방향수로 이용될 수 있습니다. 즉, 상수배가 가능합니다.
마지막으로 대칭방정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대칭방정식은 매개변수 방정식에서 매개변수를 전부 소거하면 나옵니다.
Def. 직선의 대칭 방정식(symmetric equations for the line)
점 $\left(x_0, y_0, z_0\right)$ 을 지나고 방향벡터 $\langle a, b, c\rangle$ 와 평행인 직선의 대칭 방정식 (symmetric equations for the line) 은 다음과 같다.
$$
\quad \frac{x-x_0}{a}=\frac{y-y_0}{b}=\frac{z-z_0}{c}
$$
증명은 매개변수 방정식에서 매개변수를 소거하는 식으로 할 수 있습니다. (더 보기를 눌러 확인하세요)
$$
x=x_0+a t, \quad y=y_0+b t, \quad z=z_0+c t
$$
으로부터, $a$, $b, c$ 중 어느 것도 0이 아니면, 각 방정식을 $t$ 에 관해 풀 수 있으므로 그 결과를 같게 하면 다음 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.
$$
\begin{gathered}
t=\frac{x-x_0}{a}, \quad t=\frac{y-y_0}{b}, \quad t=\frac{z-z_0}{c}
\end{gathered}$$
이때 $t$를 모두 같게 놓으면,
$$
\quad \frac{x-x_0}{a}=\frac{y-y_0}{b}=\frac{z-z_0}{c}
$$
가 됩니다.
이때, 만약 $a=0$이면 어떻게 될까요? 그래도 대칭방정식으로 표현이 가능합니다.
만약 $a=0$ 이면 $L$ 의 대칭방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$$
x=x_0, \quad \frac{y-y_0}{b}=\frac{z-z_0}{c}
$$
이것은 $L$ 이 수직평면 $x=x_0$ 안에 놓여 있음을 의미합니다.
P2)
(a) 점 $A(2,4,-3)$ 과 $B(3,-1,1)$ 을 지나는 직선의 매개변수방정식과 대칭방정식을 구하라.
(b) 이 직선은 어느 점에서 $x y$ 평면과 만나는가?
Sol.
(a) 직선과 평행인 벡터가 바로 주어져 있지는 않지만,
$\overrightarrow{A B}$ 로 표현되는 벡터 $\mathbf{v}$ 가 직선의 기울기임을 알 수 있습니다.
벡터의 성질을 사용하여 $\mathbf{v}$를 구하면,
$$
\mathbf{v}=\langle 3-2,-1-4,1-(-3)\rangle=\langle 1,-5,4\rangle
$$
입니다. 따라서 방향수는 $a=1, b=-5, c=4$ 임을 알 수 있습니다.
직선 위의 한 점 $(2,4,-3)$ 을 $P_0$으로 두면, 매개변수방정식은,
$$
x=2+t, \quad y=4-5 t, \quad z=-3+4 t
$$
입니다.
대칭방정식은,
$$
\frac{x-2}{1}=\frac{y-4}{-5}=\frac{z+3}{4}
$$
입니다. (모두 공식을 그대로 사용합니다)
(b) $z=0$ 일 때 직선은 $x y$ 평면과 만납니다.
매개변수방정식으로부터 $z=-3+4 t=0$, 즉 $t=\frac{3}{4}$ 을 얻을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이 매개변수를 모든 좌표에 대입하면
$x=2+\frac{3}{4}=\frac{11}{4}$ 이고 $y=4-5\left(\frac{3}{4}\right)=\frac{1}{4}$ 이므로
직선이 $x y$ 평면과 만나는 점은 $\left(\frac{11}{4}, \frac{1}{4}, 0\right)$ 입니다.
cf) 대칭방정식을 사용하여 $z=0$이라 놓으면, 대칭방정식은
$$
\frac{x-2}{1}=\frac{y-4}{-5}=\frac{3}{4}
$$
와 같습니다.
이로부터 $x=\frac{11}{4}, y=\frac{1}{4}$ 을 얻는다.
cf) 일반적으로 에제 2와 같이 점 $P_0\left(x_0, y_0, z_0\right)$ 과 $P_1\left(x_1, y_1, z_1\right)$ 을 지나는 직선 $L$ 의 방 향수는 $x_1-x_0, y_1-y_0, z_1-z_0$이다. 따라서 $L$ 의 대칭방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$$
\frac{x-x_0}{x_1-x_0}=\frac{y-y_0}{y_1-y_0}=\frac{z-z_0}{z_1-z_0}
$$
선분(line segment)의 벡터방정식, 꼬인 위치(skew line)
가끔씩, 직선 전체가 아닌 그 일부분인 선분의 값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.
예를 들면, 점 $A(2,4,-3)$ 과 $B(3,-1,1)$ 의 선분 $A B$ 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?
방법 1 : 단순히 매개변수/벡터방정식의 정의역을 제한합니다. ($\quad 0 \leq t \leq 1$)
$$
x=2+t, \quad y=4-5 t, \quad z=-3+4 t, \quad 0 \leq t \leq 1
$$
$$
\mathbf{r}(t)=\langle 2+t, 4-5 t,-3+4 t\rangle, \quad 0 \leq t \leq 1
$$
방법 2: 두 점을 알 때, 다음 공식을 사용합니다. (순서가 바뀌면 시점이 바뀌므로 조심합시다.)
Cor. 선분의 벡터방정식(the vector equation for line segment)
$$
\mathbf{r}(t)=(1-t) \mathbf{r}_0+t \mathbf{r}_1, \quad 0 \leq t \leq 1
$$
*매개변수 구간 제한을 잊으면 안 됩니다!
증명은 단순히 방향벡터(방향수)를 두 점을 사용해서 나타낸 것입니다.
(즉, 사실 방법 1, 2는 같은 개념을 사용한 것입니다.)
앞에서 배웠듯, 벡터 $\mathbf{r}_0$ 의 종점을 지나고 방향이 벡터 $\mathbf{v}$ 인 직선의 벡터 방정식은 $\mathbf{r}=\mathbf{r}_0+t \mathbf{v}$ 임을 알 수 있습니다.
직선이 벡터 $\mathbf{r}_1$ 의 종점도 지나면 $\mathbf{v}=\mathbf{r}_1-\mathbf{r}_0$ 을 택할 수 있고, 따라서 직선의 벡터방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$$
\mathbf{r}=\mathbf{r}_0+t\left(\mathbf{r}_1-\mathbf{r}_0\right)=(1-t) \mathbf{r}_0+t \mathbf{r}_1
$$
$\mathbf{r}_0$ 에서 $\mathbf{r}_1$ 까지 이은 선분은 구간 $0 \leq t \leq 1$ 안에서만 정의됩니다.
3차원 좌표계에서 두 직선은 만나거나, 평행하거나, 꼬인 위치(둘 다 아님)에 있을 수 있습니다.
평행한 것은 그냥 방향수를 비교해서 같으면 평행한 것일 텐데..
꼬인 위치나 만나는 것은 어떻게 판단할까요?
Tip. 두 직선의 위치 관계 확인
두 직선 ($f, g$)의 임의의 매개변수 방정식 (각 매개변수를 $t$, $s$라 한다)에 대해,
각 매개변수방정식을,
$$
f_x(t), f_y(t), f_z(t) // g_x(s), g_y(s), g_z(s)
$$
라 가정합시다.
1. 방향수가 같은 경우
두 직선은 평행(parallel)합니다.
2. 방향수가 다른 경우
먼저 만나는 점이 있다면, 그 점에서의 $x, y, z$좌표가 다 같을 것이기에,
연립방정식
$$
f_x(t)= g_x(s),
f_y(t)= f_y(s)
$$
를 풀어서, 만족하는 $t, s$를 구합니다.
이때 이 $t, s$를 $z$에(즉,$f_z(t), g_z(s)$) 대입했을 때,
값이 같으면, 만난다.(intersect)
값이 다르면, 꼬인 위치이다.(skew line)
예제를 통해 확인해 봅시다.
P3)
매개변수방정식이 다음과 같은 직선 $L_1$ 과 $L_2$ 가 있다.
$$\begin{aligned}& L_1: x=1+t, \quad y=-2+3 t, \quad z=4-t \\& L_2: x=2 s, \quad y=3+s, \quad z=-3+4 s \\&\end{aligned}$$
$L_1$ 과 $L_2$ 는 서로 꼬인 위치의 직선(skew line), 즉 두 직선은 만나지도 않고 평행하지도 않는 직선(같은 평면에 있지 않는) 임을 보여라.
Sol.
두 직선에 대응하는 방향벡터 $\langle 1,3,-1\rangle$ 과 $\langle 2,1,4\rangle$ 가 평행하지 않기 때문에 두 직선은 평행이 아닙니다.
만약, $L_1$ 과 $L_2$ 의 교점이 있다면, $t$ 와 $s$ 의 값이 존재해서 다음을 만족해야 합니다.(위 Tip 참고)
$$
\begin{aligned}
1+t & =2 s \\
-2+3 t & =3+s \\
4-t & =-3+4 s
\end{aligned}
$$
그러나 처음 두 방정식을 풀면 $t=\frac{11}{5}$ 와 $s=\frac{8}{5}$ 를 얻게 되는데, 이 값들은 셋째 방정식을 만족하지 않습니다. 따라서 세 방정식을 만족하는 $t$ 와 $s$ 의 값은 존재하지 않습니다. 그러므로 $L_1$ 과 $L_2$ 는 만나지 않기에, $L_1$ 과 $L_2$ 는 서로 꼬인 위치의 직선입니다.
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!
다음 시간엔 평면의 방정식을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(분량이 너무 많아 반으로 나눴습니다)
이전 강의 보기
2024.08.11 - [기초공학과목/미분적분학(2)] - [미분적분학(2) 개념정리] 11.4 벡터의 외적(Cross Product)
다음 강의 보기
2024.08.11 - [기초공학과목/미분적분학(2)] - [미분적분학(2) 개념 정리] 11.5 (2) 평면의 방정식(equation of the plane)
'기초공학과목 > 미분적분학(2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미분적분학(2) 개념 정리] 12.2 벡터함수의 도함수와 적분(Derivatives and Integrals of Vector Functions) (0) | 2024.08.30 |
---|---|
[미분적분학(2) 개념 정리] 12.1 벡터함수와 공간곡선(Vector Functions and Space Curves) (0) | 2024.08.30 |
[미분적분학(2) 개념 정리] 11.6 주면과 이차곡면 (Cylinders and Quadric Surfaces) (0) | 2024.08.11 |
[미분적분학(2) 개념 정리] 11.5 (2) 평면의 방정식(equation of the plane) (0) | 2024.08.11 |
[미분적분학(2) 개념 정리] 11.4 벡터의 외적(Cross Product) (1) | 2024.08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