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
평면에 작용하는 정수력(hydrostatic force acting on a plane)
1. 평면에 작용하는 정수력(hydrostatic force acting on a plane) 예시 (개방 탱크)
2. 평면에 작용하는 정수력의 일반적 공식
3. 평면에 작용하는 정수력이 지나는 지점
4. 예제
오늘은 평면에 작용하는 정수력(hydrostatic force acting on a plane)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. 유체역학 SI Version Munson 저 6판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. (CENGAGE 출판사)'
이 단원은 정역학 (관성모멘트 및 1,2차모멘트) , 및 미분적분학(면적분) 등의 개념을 알아야 합니다.
따라서 다루지 않았다면 넘어가셔도 됩니다.
평면에 작용하는 정수력(hydrostatic force acting on a plane) 예시 (개방 탱크)
표면이 유체 속에 잠기면 유체에 의하여 표면에 힘이 작용합니다. 이 사실은 자명합니다.
앞에서도 계속해서 배웠지만, 정지된 유체의 경우, 전단응력이 없으므로 힘은 표면에 수직으로 작용합니다.
액체로 채워진 탱크의 바닥과 같은 수평면에 작용하는 합력의 크기는 단순히 $F_R=p A$ 이며, 여기서 $p$ 는 바닥에 작용하는 균일한 압력이고 $A$ 는 바닥의 면적이 됩니다. 위 그림처럼요!
바닥에서는 압력이 일정하고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으므로 그림 $2.16 a$ 와 같이 합력은 바닥면의 도심에 작용할 것입니다.
이제 탱크 측면에서의 압력을 봅시다. 유체가 비압축성이면 압력은 위 그림과 같이 깊이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할 것입니다.
cf) 아래 글을 참조하세요 ! 비압축성 유체, 즉 액체에 대해서는 높이차와 압력에 관한 매번 같은 공식이 사용됩니다.
어쨌든 공식을 사용하면 위가 개방된 탱크에서는 $p=\gamma h$가 됩니다. (대기에서는 압력 0!)
그림처럼 대기압이 바닥의 양면에 작용할 경우, 바닥에 가해지는 합력은 단순히 탱크 안에 있는 액체 에 의한 것이다.
어쨌든, 탱크 측면의 압력분포는 그림 $2.16 b$ 와 같이 균일하지 않습니다.
이 같은 경우에 대한 합력의 계산을 일반적인 경우를 사용해 해봅시다.
평면에 작용하는 정수력(hydrostatic force acting on a plane) 일반적 공식
이 그림과 같이 잠긴 평면이 경사져 있는 일반적인 경우는 평면에 작용하는 합력을 구하는 것이 더 복잡합니다.
아래 가정을 따른다고 합시다:
유체의 표면이 대기에 노출된 것으로 가정합시다.
그림처럼 평면의 연장선이 액체의 자유표면(대기)과 교차하는 점을 $O$ 이라 하고 교차각을 $\theta$ 라 해봅시다.
$x-y$ 좌표계는 $O$ 이 원점이 되도록 정의하였습니다. 이때, $y=0$ ($x$ 축)이 자유표면(대기)라고 합시다.
그렇게 되면 위 그림처럼 그려질 수 있습니다.
여기서 액체와 접하고 있는 평면의 한쪽에 작용하는 합력의 방향과 위치, 그리고 크기를 구해봅시다.
임의의 깊이 $h$ 에 있는 그림 2.17의 미소 면적 $d A$ 에 작용하는 힘은 $d F=\gamma h d A$ 입니다.
($\gamma = \rho g$ 이고, 이때 $dV = h dA$ 이므로, 두 개를 곱하면 $dV \rho g = mg = F$ 이기 때문입니다!)
*밀도의 정의, 비중량의 정의, 힘의 정의를 생각해보세요 !!!!!
이 힘은 표면에 수직 방향으로 작용합니다.
따라서 이 미소 힘 $dF$들을 전체 표면에 걸쳐 더하면 합력의 크기를 얻을 수 있습니다.
식으로 나타내면, $h=y \sin \theta$ 이므로,
$$
F_R=\int_A \gamma h d A=\int_A \gamma y \sin \theta d A
$$
입니다. 면적분이 나와서 당황스러우실 수 있는데, 미분적분학 (2)에서 면적분을 다룹니다. (그냥 면에 있는 힘을 다 합쳐야 하니까 면에 대해 적분했다고 생각하세요!)
$\gamma$ 와 $\theta$ 가 일정하면
$$
F_R=\gamma \sin \theta \int_A y d A
$$
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.
이때 식에 나타나는 적분은 $x$ 축에 대한 단면1차모멘트(first moment of area)이며
$$
\int_A y d A=y_c A
$$
로 쓸 수 있습니다. (아래 식을 참조하세요)
여기서 $y_c$ 는 $x$ 축으로부터 측정한 면적 $A$ 의 도심의 $y$ 좌표입니다.
따라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Thm. 평면에 작용하는 정수력
$$
F_R=\gamma A y_c \sin \theta
$$
이때 $y_c$는 $y$축에 대한 도심
또는 더 간단히 표현하면
$$
F_R=\gamma h_c A
$$
$h_c$ 는 유체 표면에서 면적 도심까지의 수직거리
*도심과 모멘트는 정역학 강의에서 배울 수 있습니다. 도심을 배우지 않으셨다면 높은 확률로 이 차시를 학교에서 다루지 않을 것 같으니 한번 확인해 보세요.
cf) 특정 면에서 도심의 좌표 ($x-y$ 평면 가정)
$$y_{c}=\frac{\int_A y dA}{A}$$
$$x_{c}=\frac{\int_A x dA}{A}$$
위 식으로부터 합력의 크기는 각도 $\theta$ 에 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.
즉, 유체의 비중량 $\gamma$, 전체 면적 $A$, 그리 고 자유표면에서 면적 도심까지 깊이 $h_c$에 의해서만 결정됩니다.
또한 합력 $F_R$ 을 얻기 위하여 더해진 모든 미소 힘들이 표면에 수직이므로, 합력 $F_R$ 도 표면에 수직입니다.
평면에 작용하는 정수력(hydrostatic force acting on a plane) 이 지나는 지점
직관적으로는 합력이 평면의 도심을 지날 것 같으나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.
합력의 $y$ 좌표를 $y_R$이라 합시다.
이는 $x$ 축을 중심으로 모멘트를 더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.
즉 합력에 의한 모멘트는 압력힘 분포에 의한 모멘트와 같아야 하므로
$$
F_R y_R=\int_A y d F=\int_A \gamma \sin \theta y^2 d A
$$
입니다.
이때 $F_R=\gamma A y_c \sin \theta$ 이므로
$$ \gamma A y_c \sin \theta y_R =\int_A \gamma \sin \theta y^2 d A $$
로부터, y_R에 대해 표현하면,
$$
y_R=\frac{\int_A y^2 d A}{y_c A}
$$
가 됩니다.
이때, 분자에 있는 적분은 평면의 연장선과 자유표면이 교차하여 형성되는 $x$ 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(우리가 잘 아는 그 관성모멘트입니다. 정역학 참고) $I_x$ 입니다. 따라서 위 식을
$$
y_R=\frac{I_x}{y_c A}
$$
로 쓸 수도 있습니다. 아래 정의 참고하세요. 정역학에서도 나옵니다.
Def. 관성모멘트의 적분형 표현 - 정역학
$$ I_x= \int_A y^2 d A $$
$$ I_y= \int_A x^2 d A $$
Def. 평행축 정리 ($x$축에 대한) - 정역학
$$
I_x=I_{x c}+A y_c^2
$$
$I_x$ : 도심에서 $y$축 방향으로 $y_c$ 만큼 떨어진 지점에서의 관성모멘트
$I_{x c}$ : 도심에서의 관성모멘트
$A$ : 면적
$y_c$ : 도심에서 측정지점까지 $y$축 거리
위 내용을 사용하면,
$$
y_R=\frac{I_x}{y_c A} =\frac{ I_{x c}+A y_c^2 }{y_c A}=\frac{I_{x c}}{y_c A}+y_c
$$
이 됩니다.
Thm. 평면에 작용하는 정수력(hydrostatic force acting on a plane) 이 지나는 지점 - $y$좌표
$$
y_R=\frac{I_{x c}}{y_c A}+y_c
$$
이때, $I_{x c} / y_c A>0$ 이므로, 위 식에서 알 수 있듯이, 합력은 도심을 지나지 않고, 수평이 아넌 표면에서는 항상 도심의 아래에 있습니다.
합력의 $x$ 좌표 역시 앞과 같이 계산하면 됩니다. 다만 앞과 달리 $x_R$와 $x$를 곱해야 합니다.
$$
F_R x_R=\int_A \gamma \sin \theta x y d A
$$
으로부터, $x-R$에 대해 정리하면
$$
x_R=\frac{\int_A x y d A}{y_c A}=\frac{I_{x y}}{y_c A}
$$
를 얻을 수 있습니다.
여기서 $I_{x y}$ 는 $x$ 와 $y$ 축에 대한 관성상승모멘트(product of inertia)입니다.
cf) 면적의 관성상승모멘트에 대한 평행축 정리는, 직각좌표계( $x-y$ 좌표계)에 대한 관성상승모멘트가 원래의 좌표계에 평행하면서 면적 도심을 통과하는 직각좌표계에 대한 관성상승모멘트와 면적과 면적도심의 $\mathrm{x}, \mathrm{y}$ 좌표를 곱한 것을 더한 것과 같다는 것을 말합니다. 그러므로 $I_{x y}=I_{x y c}+A x_c y_c$ 입니다.
다시 평행축 정리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.
Thm. 평면에 작용하는 정수력(hydrostatic force acting on a plane) 이 지나는 지점 - $y$좌표
$$
x_R=\frac{I_{x y c}}{y_c A}+x_c
$$
여기서 $I_{x y c}$ 는 $x-y$ 좌표계를 평행 이동하여 도심을 지나도록 만든 직교 좌표계에 관한 관성상승모멘트입니다.
잠긴 면적이 도심을 지나며 $x$ 축 또는 $y$ 축과 평행인 축에 대해 대칭이 면, $I_{x y c}$ 는 $0$이므로 합력은 $x=x_c$ 의 선상에 있습니다. (대부분의 대칭 도형)
위 식들 으로부터 $y_c$ 가 증가할수록 압력중심은 면적도심에 가까워짐을 알 수 있습니다.
또한 $y_c=h_d \sin \theta$ 이므로 잠긴 깊이 $h_c$ 가 커지거나, 또는 주어진 깊이에서 각도 $\theta$ 가 작아지도록 잠긴 면이 회전되면 거리 $y_c$ 가 증가하게 됩니다.
아래 그림을 참조하세요! 문제를 풀때 아주 유용합니다.
예제
이번에 이렇게 예제를 따로 모은 이유는,.. 난이도가 좀 있어서 그렇습니다.
천천히 풀어보시고 해설을 봐주세요.
P1 )그림과 같이 직경 4 m 인 원형 수문이 물 $\left(\gamma=9.80 \mathrm{kN} / \mathrm{m}^3\right)$ 로 채워진 커다란 저수조의 경사진 벽에 설치되어 있다. 수문은 수평 방향의 직경을 따라 설치된 축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축 위로 물의 깊이가 10 m 이다.
(1) 물에 의하여 수문에 가해지는 합력의 크기와 위치를 구하라.
(2) 수문을 열기 위해 축에 가해야 하는 모멘트를 구하라.
Sol.
(1) 물이 가하는 힘의 크기를 구하기 위해서는 식
$$
F_R=\gamma h_c A
$$
을 적용할 수 있으며, 수면으로부터 면적 도심까지 수직거리가 10 m 이므로 다음과 같이 된다.
$$
\begin{aligned}
F_R & =\left(9.80 \times 10^3 \mathrm{~N} / \mathrm{m}^3\right)(10 \mathrm{~m})\left(4 \pi \mathrm{m}^2\right) \\
& =1230 \times 10^3 \mathrm{~N}=1.23 \mathrm{MN}
\end{aligned}
$$
$F_R$ 의 작용점(압력중심)을 구하기 위하여 아까 구했던 식 2개를 사용한다.
$$
x_R=\frac{I_{x y c}}{y_c A}+x_c \quad y_R=\frac{I_{x c}}{y_c A}+y_c
$$
그림의 좌표축에서는 수문이 대칭이고 압력중심은 직경 $A-A$ 위에 있어야 하므로, $x_R=0$ 이다.
$y_R$ 을 구하기 위해,
$$
I_{x c}=\frac{\pi R^4}{4}
$$
를 사용해야 한다.
이때 도심까지 거리 $y_c= \frac{10 \mathrm{~m}}{\sin 60^{\circ}} $ 이다.
따라서
$$
\begin{aligned}
y_R= & \frac{(\pi / 4)(2 \mathrm{~m})^4}{\left(10 \mathrm{~m} / \sin 60^{\circ}\right)\left(4 \pi \mathrm{m}^2\right)}+\frac{10 \mathrm{~m}}{\sin 60^{\circ}} \\
& =0.0866 \mathrm{~m}+11.55 \mathrm{~m}=11.6 \mathrm{~m}
\end{aligned}
$$
이고 수문을 고정하는 축 아래로 압력중심까지의 거리는
$$
y_R-y_c=0.0866 \mathrm{~m}
$$
이다. 결론적으로 물이 수문에 가하는 힘의 크기는 1.23 MN 이고, 이 힘은 수문의 회전축으로부터 0.0866 m 아래의 점에( 지름 $A-A$ 를 따라) 작용한다. 힘은 수문의 면에 직각이다.
(2) 수문을 여는 데 필요한 모멘트는
위 그림을 참고하여 구할 수 있다.
이 그림에서 $W$ 는 수문의 무게이고 $O_x$ 와 $O_y$ 는 수문 위의 축에 작용하는 수평한 수직 반력이다.
축에 대하여 모멘트를 더하면
$$
\sum M_c=0
$$
이므로
$$
\begin{aligned}
M & =F_R\left(y_R-y_c\right) \\
& =\left(1230 \times 10^3 \mathrm{~N}\right)(0.0866 \mathrm{~m}) \\
& =1.07 \times 10^5 \mathrm{~N} \cdot \mathrm{m}
\end{aligned}
$$
이다.
P2) 그림과 같이 수족관에 바닷물 $(\gamma=10.1$ $\mathrm{kN} / \mathrm{m}^3$ )이 0.3 m 깊이까지 채워져 있다. 수족관 한쪽 구석에 파손된 부분을 수리하기 위해 그림과 같은 삼각형 모양의 판을 새것으로 교환하였다.
(a) 바닷물에 의해 이 삼각형 면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를 구하라.
(b) 힘의 위치를 구하라.
아래 그림을 참조할 것.
Sol.
(a) 이 문제를 푸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길이가 그림에 표시되어 있다.
관심의 대상인 표면이 수직면 상에 있으므로 $y_c=h_c=0.27 \mathrm{~m}$ 이고,
식 2.18 로부터 합력의 크기는
$$
\begin{aligned}
F_R & =\gamma h_c A \\
& =\left(10.1 \mathrm{kN} / \mathrm{m}^3\right)(0.27 \mathrm{~m})\left((0.09 \mathrm{~m})^2 / 2\right)=11 \mathrm{~N} \text { (답) }
\end{aligned}
$$
이다.
(b) 압력중심(CP)의 $y$ 좌표는 위에서 구한 식으로부터
$$
y_R=\frac{I_{x c}}{y_c A}+y_c
$$
이고, 잘 알려져 있는 관성모멘트 식으로부터
$$
I_{x c}=\frac{(0.09 \mathrm{~m})(0.09 \mathrm{~m})^3}{36}=\frac{6.6 \times 10^{-5}}{36} \mathrm{~m}^4
$$
이므로 다음과 같다.
$$
\begin{aligned}
y_R & =\frac{6.6 \times 10^{-5} / 36 \mathrm{~m}^4}{(0.27 \mathrm{~m})\left(\left(8.1 \times 10^{-3} / 2\right) \mathrm{m}^2\right)}+0.27 \mathrm{~m} \\
& =0.0017 \mathrm{~m}+0.27 \mathrm{~m}=0.272 \mathrm{~m}
\end{aligned}
$$
마찬가지로 $x$ 좌표는 정의된 식으로부터
$$
x_R=\frac{I_{x y c}}{y_c A}+x_c
$$
이고, 잘 알려져 있는 관성모멘트 식으로부터
$$
I_{x y c}=\frac{(0.09 \mathrm{~m})(0.09 \mathrm{~m})^2(0.09 \mathrm{~m})}{72}=\frac{6.6 \times 10^{-5}}{72} \mathrm{~m}^4
$$
이므로
$$
x_R=\frac{\left(6.6 \times 10^{-5} / 72\right) \mathrm{m}^4}{(0.27 \mathrm{~m})\left(\left(8.1 \times 10^{-3} / 2\right) \mathrm{m}^2\right)}+0=8.38 \times 10^{-4} \mathrm{~m}
$$
이다.
수고하셨습니다.
다음 시간에는 압력프리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이전 강의 보기
다음 강의 보기
'고전역학 > 유체역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유체역학 개념정리] 2.9 곡면에 작용하는 정수력(hydrostatic force acting on a curved surface) (0) | 2024.08.22 |
---|---|
[유체역학 개념정리] 2.8 압력프리즘(pressure prism) (0) | 2024.08.18 |
[유체역학 개념정리] 2.6 액주계(manometer) (0) | 2024.08.15 |
[유체역학 개념정리] 2.5 압력의 측정(pressure measurement) (0) | 2024.08.14 |
[유체역학 개념정리] 2.4 표준대기(standard atmosphere) (0) | 2024.08.14 |